0. 들어가며
웹기획으로 IT 업계에 들어왔는데,
기획 쌩 주니어 당시,
모르거나 애매하게 아는 용어가 나올 때마다 뜻을 간단하게 정리해뒀던 것을 올려본다.
1. 용어
UI(User Interface)
UI(User Interface)란 사용자과 제품과 인터랙션 하는 지점으로 사용자가 마주하게 될 디자인, 레이아웃을 아우른다.
UX(User Experience)
UX(User Experience)란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의 경험이며, 전반적인 고객 경험과 브랜드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GUI(Graphic 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란 시각적인 아이콘, 메타포, 인디케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화면과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Depth
Depth란 서비스에 접근할 때, 거치게 되는 메뉴의 단계. 일반적으로 1depth, 2depth 형식으로 표현된다. 단계를 거치면서 세부 카테고리로 이동하게 된다.
Component 컴포넌트
Component란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이교 재사용가능한 단위의 요소.
Container 컨테이너
Container란 스크린 요소들을 사용자 스크린 사이즈를 바탕으로 적절한 최대 너비 안에 품도록 하는 요소.
Interaction 인터랙션
Interaction이란 사용자의 시각, 청각, 촉각 입력값과 이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출력값 또는 피드백의 조합.
Easing
Easing이란 애니메이션으로 가속과 감속을 활용하여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만드는 것.
Grid 그리드
Grid란 디자인에서 네거티브 스페이스를 정렬하는데 쓰이는 구조.
Gesture
Gesture란 시스템이 명령어로 이해하는 손가락이나 펜의 움직임.
Haptic
Haptic이란 사용자가 촉각, 힘, 운동감을 느끼게 하는 인터렉션 기술.
Hiearachy
Hiearachy란 컨텐츠의 중요도를 반영하는 시각적 배치와 표현.
Label 라벨
Label이란 스크린의 요소가 무엇인지 설명하거나, 사용자가 액션을 취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말해주는 간결한 텍스트.
Landing
Landing이란 사용자가 웹/앱을 실행하고 스플래쉬 스크린을 보고 서비스를 사용하기 시작하는 일련의 과정.
Modal 모달
Modal이란 사용자가 인터랙션 하도록 강제하는 페이지나 창이며, 주로 기존 창과의 인터랙션을 차단하면서 뜨는 2번째 창을 의미.
Navigation 네비게이션
Navigation이란 사용자가 페이지에서 페이지로 이동하는 수단.
Scrim 스크림
Scrim이란 컨텐츠가 덜 중요해보이도록 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주로 어둡게 하거나 투명도를 조절한다.
Splash
Splash란 앱이 런칭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스크린. 앱을 실행시키고 사용자가 처음 만나는 화면. 보통 로고 혹은 심볼을 중앙 배치함.
Skeleton
Skeleton이란 정보가 서서히 로딩되는 페이지의 비어있는 버전.
Floating Action Button (FAB)
Floating Action Button(FAB)이란 화면에서 가장 자주 행하는 주요 액션(Primary Action)을 제공하며 배경이 되는 컨텐츠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한다.
Primary Button
Primary Button이란 한 화면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부분 한 곳에서만 사용. 나머지 버튼의 위계외 구분감을 준다.
Secondary Button
Secondary Button이란 중간 위계 액션을 수행하는 버튼.
Tertiary Button
Tertiary Button이란 가장 낮은 위계 액션을 수행하는 버튼.
Workflow 워크플로우
Workflow란 앱이나 웹사이트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페이지를 이동하고 액션을 취하는 의도된 흐름을 표현하는 문서.
Tagging
Tagging이란 대부분의 매체들은 데이터 수집을 위한 Javascript 기반의 코드를 제공하는데, 이를 Tag라고 부르는데, 요건에 맞춰 삽입하는 과정을 Tagging이라 한다.
메타정보
메타정보란 메타데이터(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어떤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데이터.
메타태그
- 웹서버와 웹브라우저 간에 상호교환되는 정보를 정의하는데 사용.
- <head></head> 사이에 입력하는 특수 태그.
- 디자인에는 전혀 영향이 없음. 문서가 어떤 내용을 담고있고, 문서의 키워드는 무엇이며, 누가 만들었는지 등과 같은 문서 자체의 특성을 담고있음.
Migration 마이그레이션
Migration이란 한 운영환경으로부터 좀 더 낫다고 여겨지는 다른 운영환경으로 옮겨가는 과정.
SEO 검색 엔진 최적화
SEO란 Search Engine Optimization의 약자로, 웹페이지 검색 엔진이 자료를 수집하고 순위를 매기는 방식에 맞게 웹페이지를 구성해서 검색결과의 상위에 나올 수 있게끔 하는 작업을 말함.
웹 접근성
웹접근성이란 장애인이나 고령자들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웹 접근성 준수는 법적 의무사항이다.
웹 로그
웹로그란 특정 웹사이트에 방문한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 어떤 페이지를 방문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파일/데이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