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JavaScript

[노마드코더] 바닐라 JS로 크롬 앱 만들기 - #2.11

by MICOSA 2021. 11. 19.

#2.11 Returns

 

개념

Return이란? 함수(function)의 계산 결과를 나에게 제공하는 것임.

우리가 넘겨주는 어떠한 이름이든 Hello 인사를 해주는 함수를 만들어보자.

함수가 없다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해야 할 것임.

const calculator = {
	plus: function (a, b) {
    	console.log(a + b);
    },
    minus: function (a, b) {
    	console.log(a - b);
    },
    times: function (a, b) {
    	console.log(a * b);
    },
    divide: function (a, b) {
    	console.log(a / b);
    },
	power: function (a, b) {
    	console.log(a ** b);
    },
};

calculator.plus(2, 3);
calculator.times(2, 3);
calculator.minus(2, 3);
calculator.divide(2, 3);
calculator.power(2, 3);

 

결과 값

 

우리는 더이상 console이 아닌,  함수를 통해 코드 안에서 답을 얻고자 함.

더 나은 코드를 만들어보자

예제에서 한국식 나이를 계산하는 코드를 만들 것임

 

 

function 안에서 무언가를 return하면, 

누군가가 function을 실행할 때, 이것"calculateKrAge(age)"을 대체하게 됨.

 

const age = 96;
function calculateKrAge(ageOfForeigner){
	return ageOfForeigner + 2;
}

const krAge = calculateKrAge(age);
console.log(krAge);

 

결과 값

calculateKrAge를 실행시키면, 96이라는 argument가 age자리로 대체가 되고, 

... return 을 함으로써 function을 호출하는 코드가 98이 됨.


 

 

예제

calculator 내부에서 console.log를 사용하지 않는 코드

const calculator = {
	plus: function (a, b) {
    	return a + b;
    },
    minus: function (a, b) {
    	return a - b;
    },
    times: function (a, b) {
    	return a * b;
    },
    divide: function (a, b) {
    	return a / b;
    },
	power: function (a, b) {
    	return a ** b;
    },
};

const plusResult = calculator.plus(2, 3);
console.log(plusResult);
const minusResult = calculator.minus(plusResult, 10);
const timesResult = calculator.times(10, minusResult);
const divideResult = calculator.divide(timesResult, plusResult);
const powerResult = calculator.power(divideResult, minusResult);

결과 값

 

댓글